/ 뉴스 / 트럼프 발 신흥국 자금이탈, 1년 만에 최대

트럼프 발 신흥국 자금이탈, 1년 만에 최대

FX분석팀 on 11/21/2016 - 08:39

트럼프 쇼크로 신흥국 주식형 펀드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의 교역 비중이 높아 시장 변동성이 큰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펀드에 대한 투자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권고가 나왔다. 반면 외국인 투자 장벽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국이나 베트남의 경우 중장기 투자 대상으로 적합하다는 주문이다.

현지시간 21일 시장조사기관 이머징포트폴리오펀드리서치(EPFR)에 따르면 지난 10일부터 16일까지 신흥국 주식형펀드에서는 총 54억4000만달러가 유출됐다. 같은기간 선진국 시장으로는 329억3000만달러가 유입됐다. 특히 신흥국 전반에 투자하는 글로벌 이머징마켓(GEM)펀드에선 46억3000만달러가 빠져나가며 최근 1년래 가장 많은 자금이 이탈했다. 또한 아시아 신흥국도 위험회피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12억달러가 유출되기도 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신흥지역 내에서도 국가별로 투자 접근을 달리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종훈 삼성자산운용 글로벌주식운용팀장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글로벌 채권금리 상승, 강달러 여파로 당분간 신흥지역은 약세일 수 밖에 없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외환시장은 정부 통제에 따라 외국인 진입장벽이 높은 편인데다가 선강퉁(중국 선전-홍콩거래소간의 교차 거래) 호재도 있어 투자할만한 지역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역시 시장 전문가들이 장기투자 유망지역으로 꼽는 신흥국 중 하나다. 문수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베트남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트럼프 쇼크라는 소용돌이 속에서 벗어나긴 어렵다면서도 오히려 중장기적으로 보면 연평균 경제성장률 6%대에 생산가능한 인구가 70%가 넘는 등 성장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여전히 투자 유망한 나라라고 전했다.

정치적 리스크가 있는 필리핀이나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브라질·인도네시아, 미국 최대 교역국 중 한 곳인 멕시코에 대한 투자는 주의를 요했다.

배성철 KB자산운용 리테일본부 이사는 1차산업 수출 비중이 높은 브라질,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과 우리나라나 대만, 중국처럼 공산품을 제조해서 수출하는 나라들은 달리 접근해야 한다면서 당분간은 미국의 영향권역에 있는 국가들은 투자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진단했다. 이 팀장도 중국은 외국인 투자 비중이 전체 시장의 3%선이지만, 인도네시아는 30%를 상회한다는 점에서 자금 이탈 충격을 피해가기 어려운 국가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당분간은 신흥국 자금 이탈에 동조하기보단 관망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배 이사는 적어도 트럼프 정책 효과가 나타나는 내년 2분기 이후에 각 신흥국 상황에 맞춰 적극적 투자 운용에 나서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연구원도 만약 지금 저가매수에 나서려면 작게 담고 분산해서 투자한 뒤 성과를 보면 바로 파는 시점을 인지할 수 있어야한다고 강조했다.

 

Send Us A Messag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