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R/USD 동향 / [EUR/USD] 재무부 국채 조달 물량 예상보다 줄어.. 달러 약세

[EUR/USD] 재무부 국채 조달 물량 예상보다 줄어.. 달러 약세

FX분석팀 on 10/31/2023 - 06:15

전일(30일) 외환시장에서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결정을 앞두고 미국 재무부가 당초 시장의 전망보다 국채 조달 물량을 줄인 영향으로 달러화가 주요통화 대비 약세로 돌아서는 모습을 나타냈다.

먼저, 이날 아시아외환시장에서는 중동 긴장 고조와 일본은행(BOJ) 정책 결정을 앞둔 경계감에 USD/JPY 환율은 149엔 중후반에서 제한된 움직임을 보였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의 ‘전쟁 2단계’를 선언하면서 가자지구 내에서 본격적인 지상전에 돌입했다는 소식에 중동 분쟁 확산 우려가 커졌다. 실제 하마스를 지원하는 이란은 ‘레드라인을 넘었다’면서 본격 대응을 경고했다.

여기에다 31일 일본은행의 금융정책 결정을 앞두고 있다는 부담감도 시장 참가자들의 포지션 이동을 제한했다. 내달 1일에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도 나온다.

닛케이아시아는 일본은행이 분기 경제·물가 전망 보고서에서 2024년도 물가 전망치를 종전 1.9%에서 2%대로 상향조정할 공산이 크다고 보도했다.

지난 2022년 물가 상승률이 3%를 기록했고 올해는 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만약 2024년 전망치가 현실화될 경우 3년 연속 2%를 웃돌게 된다.

물가 전망치를 근거로 일본은행이 10년물 국채금리 상한선을 현행 1% 수준에서 더 확대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럽외환시장 들어서는 유로존 최대 경제국 독일의 경제지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면서 유로화가 장중 달러대비 강세를 나타냈다.

독일 경제가 예상보다 덜 둔화되면서 경기 침체를 피해갔다. 독일 3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는 전분기 대비 0.1% 감소해 전문가 예상치 -0.2%보다 양호했다.

독일의 인플레는 둔화세를 보였다. 독일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잠정치는 전년 대비 3.8% 상승을 기록해 직전 월 4.3% 상승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 3.6% 상승도 밑도는 기록이다.

뉴욕외환시장 들어서는 미 재무부가 시장 예상보다 국채 조달 물량을 줄이면서 달러화가 주요통화 대비 약세를 보였다.

미 재무부는 올해 4분기에 7,760억달러를 차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7월 말에 예측한 8,520억달러보다 760억달러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4분기 차입 계획은 지난 3분기에 1조100억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다. 당시에는 차입 규모가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웃돌면서 국채 금리가 급등세를 보인 바 있다.

한편, 시장에서는 연준이 다음달 1일 발표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다.

최근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등이 탄탄한 흐름을 이어왔지만 일부 인플레이션 지표 등은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둔화되고 있어서다.

시장은 또한, 미 고용지표에도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좋은 흐름을 이어갈 경우 연준의 매파적인 통화정책 행보를 자극할 수도 있어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10월 비농업 고용이 17만5000명 증가하는 데 그쳐 전달의 33만6000명에서 크게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실업률은 3.8%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용이 빠르게 둔화한다면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는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전문가는 전 세계의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회의가 열리고 미국의 고용지표 등 최고로 중요한 거시 경제지표 발표도 예정된 탓에 이번주는 외환시장이 분주한 한주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표면적으로는 이번 주 달러화의 지배력을 무너뜨릴 만한 것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미 재무부의 분기별 국채 발행 물량 발표가 변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EUR/USD 환율은 전 거래일 1.0558달러보다 상승(달러 가치 하락)한 1.0616달러 안팎에서 거래됐으며,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일 0.42% 하락한 106.14를 나타냈다.

 

Send Us A Messag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