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중앙은행(RBNZ) 통화정책
2023년도 RBNZ 통화정책 회의 및 총재발언 요약
◆ 2월 22일 (기준금리 4.75% - 50bp 인상)
▷ | 기준금리인 오피셜 캐시레이트(OCR)를 4.25%에서 4.75%로 50bp 인상 |
▷ | 물가 압력 완화의 초기적 징후가 있지만 근원 CPI가 여전히 높은 수준. 고용은 여전히 최대 지속 가능한 수준을 넘어섰으며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여전히 높다 |
▷ | 현재까지 통화 정책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엔 이르다. 정부의 재정 대응을 위한 자금의 조달 시기, 규모 및 성격도 아직 결정된 바 없다 |
▷ | 다만 올해 세계 경제 활동 전망에 대해선 여전히 부진하며 소비자 가격의 압박과 뉴질랜드 주요 상품 수출에 대한 수요를 낮추고 있다 |
▷ | 1∼3%의 연간 목표 범위 내로 인플레이션을 되돌리기 위해 지출에 대한 충분한 억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확신하기까지 11월 성명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화 조건을 더욱 긴축하는데 동의함 |
참고:
▷ | 10회 연속 금리 인상 |
◆ 4월 5일 (기준금리 5.25% - 50bp 인상)
▷ | 기준금리인 오피셜 캐시레이트(OCR)를 4.75%에서 5.25%로 50bp 인상 |
▷ |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고 끈질긴 상태. 고용지표 역시 지속 가능한 수준을 넘어섰다 |
▷ | 현재의 긴축 정책은 물가상승률을 낮춰 미래에 금리를 더 인상할 필요성을 제한함으로써 금융 안정 전망을 개선할 것 |
▷ | 세계 경제둔화와 통화긴축 정책 영향으로 소비지출 성장률은 둔화할 것인데 이는 물가상승률을 1~3% 중기 목표치로 되돌리기 위해서 필수적인 절차 |
▷ | 미국과 유럽의 은행 스트레스로 인해 채권금리가 낮아지고 신용 스프레드는 확대됐다. 이는 글로벌 신용 여건이 위축될 가능성과 글로벌 수요 전망이 약해질 가능성을 반영한 것 |
▷ | 뉴질랜드 은행은 자본이 풍부하고 수익성이 있으며, 유동성도 강하다. 대차대조표상 금리 위험에 비교적 적게 노출돼 있다 |
▷ |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과 뉴질랜드의 금융안정을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상충되는 점은 없다 |
참고:
▷ | 11회 연속 금리 인상 |
◆ 5월24일 (기준금리 5.50% - 25bp 인상)
▷ | 기준금리인 오피셜 캐시레이트(OCR)를 5대 2의 다수결로 5.25%에서 5.50%로 25bp 인상 결정 |
▷ | 금리 수준이 지출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제한하고 있다는 데 동의 |
▷ | 다만 사이클론 복구 자금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추가 인상이 가능할 수도 |
▷ | 현재 인플레이션 수준이 연간 목표 범위를 웃돌고 있는만큼 여전히 높은 수준의 금리는 필요 |
▷ |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이 완화됐고 원자재 가격, 특히 유가는 2022년 초 정점 이하로 유지. 전반적으로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주요 무역 파트너 사이에서 계속 하락 |
▷ | 미국과 유럽의 최근 은행 스트레스가 뉴질랜드 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
▷ | 높은 이자율의 영향은 주택과 관련된 지출 및 경제 활동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주택 투자가 완화되기 시작했고 전망치 또한 계속해서 둔화될 것임을 시사 |
참고:
▷ | 12회 연속 금리 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