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은행(BOC) 통화정책
2023년도 BOC 통화정책 회의 및 총재발언 요약
◆ 1월25일 (기준금리 4.50% - 25bp인상)
▷ | 기준금리인 오버나이트 금리를 종전 4.25%에서 4.50%로 25bp 인상 결정 |
▷ |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인해 경제활동, 특히 가계지출이 둔화하고 있다. 급격한 금리인상이 앞으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할 것 |
▷ | 공급망 안정과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올해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내려갈 것으로 예상. 자체 전망치에 부합하는 경제 상황이 나타나면 현 수준에서 금리를 동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 | 다만, 경제지표가 악화하면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대로 되돌리기 위해 필요하다면 언제든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 |
▷ | 경제가 아직 과열된 상태지만 잇따른 금리 인상 효과로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고 성장도 둔화했다 |
▷ |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6%, 올해는 1.0%를 기록할 것. 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 3%대로 내려가고 내년에는 목표치인 2%대를 보일 것으로 예상 |
참고:
▷ | 지난 10개월 동안 8차례 연속 금리인상 |
◆ 3월8일 (기준금리 4.50% - 동결)
▷ | 기준금리인 오버나이트 금리를 종전 4.50%로 동결 결정 |
▷ | 최신 경제 데이터가 연달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중반에 3% 가까이로 떨어진다는 중앙은행 예상에 부응하는 내용을 나타냈다 |
▷ | 계속 경제정세와 그간 금리인상 영향을 정밀히 조사하고 인플레율을 2% 목표로 돌아가는데 필요하다면 금리를 추가 인상할 용의가 있다 |
▷ | 2022년 10~12월 분기 성장률이 예상을 하회, 제로성장함에 따라 성명에서 '수요 초과'라는 문구를 삭제 |
▷ | 제한적인 금융정책이 계속 가계지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 여러 분기 동안 낮은 경제성장이 이어지고 제품과 상품 시장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화한다 |
▷ | 인플레율을 목표 범주에 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선 근원 인플레와 인플레 기대가 더욱 저하할 필요가 있다 |
◆ 4월12일 (기준금리 4.50% - 동결)
▷ | 기준금리인 오버나이트 금리를 종전 4.50%로 동결 결정 |
▷ | 물가 상승 추이가 급속히 둔화한다고 판단, 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
▷ | 인플레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고 있다. 올해 여름 3%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 |
▷ | 소비자물가가 내년 말까지 관리 목표치인 2%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 |
▷ | 좋은 소식이긴 하지만 작업이 완수된 것은 아냐. 금융 정책이 2% 목표치까지 물가를 회복시키지 못하면 목표 달성을 위해 정책 금리를 인상할 준비가 되어있다 |
참고:
▷ | 2회 연속 동결 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