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준금리인 오버나이트 금리를 종전 0.50%에서 1.00%로 인상 결정 |
▷ | 또한, 재투자를 종료하고 오는 4월 25일부터 양적긴축(QT)에 들어갈 것 |
▷ | 대차대조표에 만기가 돌아오는 정부 채권은 더 이상 대체되지 않을 것. 이로 인해 대차대조표 규모는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 것 |
▷ | 러시아의 계속되는 우크라이나 침공이 상상할 수 없는 인간의 고통과 새로운 경제적 불확실성을 야기시키고 있다 |
▷ | 석유, 천연가스 그리고 다른 상품들의 가격 급등은 전세계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키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공급 차질도 계속되는 공급 제약을 악화시키고 활동에도 제약을 주고 있다 |
▷ | 이러한 요인들은 캐나다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상당한 상향 조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
▷ | 대부분의 경제가 오미크론 변종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은 세계 회복을 방해 |
▷ | 유럽 국가들은 전쟁으로 인한 자신감 효과와 공급 부족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
▷ | 연준이 통화정책 수단을 활용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내비치며 부양책 철회에 나서면서 미국의 성장률은 잠재성장률에 맞춰 보다 완만한 속도로 완화할 것으로 예상 |
▷ | 올해 전 세계 성장률을 약 3.5%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3년 2.5% 2024년 3.5%로 전망 |
▷ | 캐나다 경제는 올해 4.25% 성장한 뒤 2023년 3.25&, 2024년 2.25%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 |
▷ | 인플레이션은 현재 2022년 상반기에 거의 6%의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며, 올해 내내 통제 범위를 훨씬 상회할 것으로 예상. 다만, 2023년 하반기에 약 2.5%로 완화됐다가 2024년에는 2%대 목표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 |
▷ | 추가 인상 시기와 속도는 은행의 지속적인 경제 평가와 2% 물가 목표 달성에 대한 약속에 의해 좌우될 것 |